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연금 수급자 본인의 사망 평균 연령 75세, 공무원 배우자 사망 후 유족 연금 수급자의 사망 평균 연령 80세, 해마다 공무원연금 수급자들의 최종 연령은 상승 중

- 수급자 평균 75세 사망, 유족 평균 80세 사망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 의하면 공무원연금 수급자들은 대부분 75세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60세에 연금을 받아 15년 수급을 한 후 사망하고 유족에게 감액된 연금을 물려주는 것으로 나온다. 수급자의 가족인 부인 등은 대략 80세까지 살고 죽는 것으로 나온다. 일부 데이터에 대해 의의가 들어왔는데 공무원연금 수령액이 감소해서 통계 분석에 일부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한다.

 

1. 정의

“연금수급자 사망자 평균연령”은 해당연도에 사망한 퇴직연금, 유족연금, 장해연금수급자의 ‘사망당시 평균연령값’을 의미한다.

 

2. 측정산식

매년 1.1.~12.31.사이에 사망으로 인하여 유족승계 또는 종결 처리한 퇴직연금, 유족연금, 장해연금 수급자의 사망당시 연령 총합을 총 연금수급자 사망자수로 나누어 측정한다.

 

3. 유의사항

사망자 평균연령 중 ‘38세 이하’는 38세로, ‘85세 이상’은 85세로 각각 조정·반영되어 있다. 장해연금 수급자에는 장해유족연금 및 공무상유족연금수급자가 포함되어 있다. 연금수급자사망자수에 대한 통계는 2004년부터 관리되고 있다.

 

★ 연금수급자 사망자 평균연령, 증감률(단위 : 세, %)

 

★ 퇴직연금수급자 사망자 평균 연령, 유족연금수급자 사망자 평균 연령, 장해연금수급자

 

연도  평균 
연령 
증감  증감률 
2004  67.6  -  - 
2005  68.2  0.6  0.9 
2006  68.7  0.5  0.7 
2007  69.2  0.5  0.7 
2008  70.3  1.1  1.6 
2009  70.8  0.5  0.7 
2010  70.7  △0.1  △0.1 
2011  71.9  1.2  1.7 
2012  73.1  1.2  1.7 
2013  73.7  0.6  0.8 
2014  74.3  0.6  0.8 
2015  74.7  0.4  0.5 
2016  75.6  0.9  1.2 

 

연도  퇴직연금 
평균 
유족연금 
평균. 
장해연금 
평균 
2004  67.5  71.0,  60.6 
2005  67.9  73.6  60.2 
2006  68.4  73.4  63.2 
2007  69.0  73.4  62.4 
2008  70.0  76.3  61.7 
2009  70.3  77.4  64.4 
2010  70.1  77.3  64.6 
2011  71.6 76.0  65.5 
2012  72.7  77.7  66.4 
2013  72.9  78.6  65.8 
2014  73.7  79.7  66.6 
2015  74.1  79.4  71.6 
2016  74.9  80.4  70.8 

-----------------------------------------

공무원연금 연도별 신규 수급자수 증감 추이

공무원연금 연도별 수지 내역, 적자 정부 보전금, 세금 투입, 수입 지출

공무원연금 연도별 지급총액, 종류별 퇴직연금 유족연금 장해연금

공무원연금 월평균 금액, 월수령액 변화 추세, 1인당 연금액, 지급액

공무원연금 수급자수 년도별 인원, 증가율, 유족연금 장해연금 퇴직연금

공무원 보수와 민간기업 임금 대비 비율, 접근율, 공무원 연봉과 대기업 연봉 비교, 중소기업 월급

공무원 소득, 민간 기업보다 최대 7억8천만원 많아, 중소기업 대기업 퇴직 후 소득, 공무원연금, 생애 소득

국민연금 월 218만원 소득자 30년 가입하면 월 67만원

퇴직공무원 연금이 근로자 평균연봉의 1.2배

2014년 기준 공무원연금 월 수령액 10명 중 2.2명 300만원 넘어

군인연금 이미 1973년 고갈, 사학연금 2033년 고갈, 세금으로 적자 보전